2 분 소요

리눅스

리눅스 소개

1. 운영체제의 개념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작동식키고 운영을 도맡아 관리하여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다.

운영체제의 기능은 메모리관리, 입출력 관리, 파일 및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자원관리, 스케줄링이 있다.

운영체제가 가져야 할 조건으로 처리능력 향상, 응답시간 단축, 사용 가능성 향상, 신뢰도 향상이 있다.

2. 리눅스

유닉스의 구조

1. 커널 : 파일관리, cpu 스케줄링, 메모리 관리, 입출력 서비스 등 하드웨어를 제어해주는 프로그램
2. 셀(Shell) : 명령어 번역기,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3. 유티리티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준비된 시스템 프로그램(압축 프로그램)

리눅스 : 값 비싼 유닉스를 대체할 수 있는 운영체제가 리눅스고 역할도 거의 동일하다. 리눅스는 오픈소스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로 프로세스 스케줄링, 가상 메모리, 파일관리, 장치 입출력 등의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 커널의 일부분이다.
- 리눅스 철학은 어느 누구라도 프로그램의 소스를 구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다른 사람에게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리눅스의 사용환경으로 CLI(Command Line Interface)환경과 GUI(Graphical User interface)환경이 있다. CLI는 콘솔모드로 빠른 처리속도를 제공하고 GUI는 느린 처리속도지만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리눅스의 장점

1. 다중작업(멀티테스킹) 및 다중 사용자(멀티유저) 시스템
2. 강력한 네트워킹 기능(TCP/IP, IPX/SPX, Appletalk등 여러 네트워킹 프로토콜 및 서비스 제공)
3. 유닉스 표준과 호환
4. 편리한 사용환경
5. 멀티플랫폼 지원(멀티 부팅 프로그램)
6.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7. 다양한 프로세스/쓰레드 간 통신지원
8. 효율적인 하드웨어 자원 관리

리눅스의 단점

1. 공개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보상받을 수 없다.
2. 한글 입출력의 어려움이 있다.
3. 통합 개발환경 및 응용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커널

리눅스 커널은 현재 제어하는 하드웨어 장치의 지원여부 정보, 하드웨어 성능, 하드웨어 제어코드들이 들어 있으며,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 존재하며 두 사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이다.

리눅스 커널의 구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 User mode에서 동작되는 프로그램
시스템 콜 인터페이스 : 응용 프로그램에게 커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커널 :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IPC, 파일시스템, 네트워킹,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하드웨어 : CPU, RAM, HDD, FDD등등

사용자 모드와 커널모드

커널모드는 프로그램들은 직접적인 하드웨어 요청이나 중요한 시스템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모드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하드웨어 제어를 커널에서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 모드로 사용하다가 그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해야 할 경우 사용자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던 프로그램이 커널모드로 제어권이 넘어가서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하드웨어 장치를 다 사용하게 되면 다시 프로그램은 사용자 모드로 제어권을 넘겨준다.

리눅스 커널 버전

리눅스 커널의 특징으로 리눅스 커널은 오픈소스 모놀리식 유닉스 계열 컴퓨터 윤영체제 커널
모놀리식 커널 : 운영체제의 모든 기능이 하나의 주소공간에서 한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는 커널이다.
커널 모듈 지원 : 커널 모듈은 커널의 다른 부분과 독립적으로 컴파일 되고, 적재되고, 제거될 수 있는 커널 코드의 일부분으로 모놀리식 커널이 복잡 해질수록 크기가 커지는 단점을 해결한다.
안정 버전 : 두번째 마이너 번호 – 짝수
개발 버전 : 두번째 마이너 번호 – 홀수
예시 : kernel 4.6.4 : 첫번째는 획기적인 변화 두번째는 안정버전 개발버전, 세번째는 패치횟수
리눅스 LTS = long term support로 5년가 지원한다.

우분투 리눅스 배포판

일반 사용자는 리눅스 커널만으로는 리눅스를 사용할 수 없다. 리눅스 커널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추가해 설치와 사용이 용이하도록 만든 것이 리눅스 배포판이다.

배포판은 여러가지가 있다. 데비안 리눅스, 레드햇, CentOS등이 있다. 데미안은 패키지 설치와 업그레이드가 단순하며 apt프로그램으로 소프트웨어 설치나 업그레이드 등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우분투 의미 : 남아프리카 부족언어로 ‘네가 있으니 나도 있다’라는 의미로 서로 배려하고 함께 공종한다는 좋은 의미다.

우분투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

우분투 데스크톱 : X 윈도우 환경 지원, 웹 브라우저, 이미지 편집기등 다양한 GUI툴을 지원
우분투 서버 : X윈도우 환경을 지원하지 않으며, GUI대신 TUI(Text 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
이외 다양한 배포판 : 쿠분투, 우분투 그놈, 우분투 기린등 이런한 배포판은 : Ubunto flavours

댓글남기기